[Spring Boot] Google Firebase와 Spring Boot 연결
·
🍏 Spring Boot
오늘은 구글의 파이어베이스를 사용해 보려고 한다.https://console.firebase.google.com/u/0/ 🔥Google Firebase 프로젝트 생성구글 파이어베이스 콘솔에 접속해서 Firebase 프로젝트를 만들어 준다. 방법은 생각보다 더 간단했다. 내 프로젝트 이름을 작성해 주고, 약관에 동의해 주면 된다.나는 그냥 다 체크체크 했다 그리고 애널리틱스 위치는 대한민국으로 설정해 주고마지막 프로젝트 만들기를 클릭하면 이제 여기서 프로젝트 설정 -> 서비스 계정에 들어간다. 그러면 이렇게 새 비공개 키 생성이 뜨는데 나는 자바를 사용해서 자바로 바꿨다. 그리고 버튼을 누르면 .json 파일이 자동으로 다운로드 된다. 🔥Spring Boot와 Firebase 연결그리고 이제 스프..
[Spring Boot] @RestController와 @Controller의 차이
·
🍏 Spring Boot
이 글을 작성하는 이유계속 404가 뜨던 요청이 @Controller에서 @RestController을 붙이자마자 해결된 것이다도대체 왜일까 내 10시간을 어디에 바친 것인가그러나 이 모든 것은 내 무지에서 출발하였다...한바탕 데이고 알아보는 두 어노테이션의 차이점. ✴️ @Controller ?컨트롤러는 애플리케이션을 구성하는 핵심 요소 중 하나로, URI와 매핑하여 클라이언트의 요청에 알맞은 응답을 반환하는 곳이다.Spring의 @Controller 어노테이션은 View를 반환한다. ✴️ @RestController ?Controller 앞에 Rest가 붙은 이 RestController는 @Controller + @ResponseBody 의 개념이라고 한다.그래서 @RestController 어노..
[Spring Boot] @RequestParam, @RequestBody
·
🍏 Spring Boot
post와 get의 차이는 간단하다. post는 정보를 새로 생성하거나 업데이트할 때, get은 정보를 요청할 때 (가져올 때) 사용한다. 그러나 이걸 컨트롤러 계층에서 @PostMapping, @GetMapping 으로 api를 호출하여 사용할 때 @RequestBody 와 @RequestParam의 차이는 뭐지? 언제 써야 하지? 와 같은헷갈림이 종종 발생하여내 이해를 위해 정리해 보기로 한다. . . 🍏 POST vs GET  GET - 서버로부터 정보를 요청할 때 사용하는 HTTP 메서드POST - 정보를 생성하거나 업데이트할 때 사용하는 HTTP 메서드 🍏@RequestParam쿼리 파라미터, 폼 데이터 또는 URL에서 값을 추출할 때 사용됨HTTP 요청 파라미터의 이름으로 바인딩하여 변수에..
[Spring Boot] @Transactional 이란?
·
🍏 Spring Boot
🍏 @Transactional 이란?스프링부트에서 사용되는 어노테이션 중 하나로, 'Transaction' 을 적용시킨다.  그렇다면 'Transaction' 이란?= 데이터베이스 관리 시스템 또는 유사한 시스템에서 상호작용의 단위  그래서 @Transactional 을 붙이면, 그 메서드는 하나의 단위가 되어 실행되고메서드 실행이 중단됐을 시 일부만 적용되는 것을 막아 준다! 예를 들어 @Transactional{userRepository.save(newUser);articleRepository.save(newArticle);}이런 식의 메서드가 있다고 가정했을 때, newArticle에 오류가 있어 저장이 진행되지 않았다면newUser 또한 저장이 되지 않는 것이다.  🍏 @Transactiona..